바닥재는 리모델링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동시에 집의 분위기를 가장 먼저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예쁜 마루”나 “청소하기 편한 장판”처럼 겉보기 성능만 보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로는 내구성, 방수력, 시공 방법, 관리 방식, 그리고 공간별 사용 용도까지 고려해야 오랫동안 후회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장판과 마루의 구조적 차이, 내구성과 방습 성능 비교, 시공 시 유의점까지 실전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리모델링 바닥재 선택에 앞서 이 글을 꼭 참고해보세요.
장판과 마루, 구조부터 다르다
장판은 일반적으로 PVC(폴리염화비닐) 재질의 롤 타입 제품을 의미해요. 1.8mm~4.5mm 두께로 말아서 시공하며, 한 번에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어 빠르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
마루는 기본적으로 **목재 또는 합성보드(HDF)**를 베이스로 하고, 위에 필름(강화마루), 도장(원목마루), 방수층(LVT/강마루)을 덧댄 구조예요. 강도가 높고, 소재에 따라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내구성과 긁힘 방지 비교
장판은 충격이나 물에 강하지만, 날카로운 가구 모서리나 무거운 가전제품에 의해 눌림 자국이 생기기 쉽습니다. 특히 냉장고 바퀴 자국, 의자 다리 흠집 등이 쉽게 생기며, 시간이 지나면 가장자리가 들뜨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강화마루나 LVT마루는 표면 경도가 높아 긁힘과 눌림에 훨씬 강합니다. 특히 최근 나오는 SPC 마루(돌가루 혼합 합성마루)는 습기와 열에도 강하고, 내구성 면에서도 상업용 바닥재에 가까울 정도로 견고합니다. 단점은, 일단 긁히거나 찍히면 수리보다 교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방수와 습기 대응력
PVC 장판은 구조적으로 방수 성능이 강해요. 물걸레질이 편하고, 바닥에 물을 흘려도 스며들지 않아 욕실 바로 앞, 주방, 다용도실 바닥에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공 시 이음새 마감이 부실하면 틈 사이로 물이 들어가 곰팡이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일반 마루(합판 강화마루)**는 습기에 약합니다. 바닥에 물이 오래 고이면 마루가 들뜨고, 눌러붙는 소리와 함께 휘어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반면 **방수마루(LVT, SPC, WPVC)**는 폴리머 기반으로 만들어져 물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습기가 많은 주방이나 발코니 확장 공간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가격은 일반 마루보다 약간 더 높지만, 긴 수명을 생각하면 오히려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시공 방식과 유지보수 차이
장판 시공은 전체를 한 장으로 덮는 방식이며, 기존 바닥을 철거하지 않아도 덧방 시공이 가능해요. 비용은 낮고, 공사 시간도 짧아 하루 만에 시공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중간에 자주 교체하면 본드 자국, 표면 마모 등의 관리 이슈가 생기기도 합니다.
마루 시공은 기존 바닥 철거 후 본드 또는 락킹 방식으로 시공합니다. 본드를 사용하는 접착식 마루는 강도가 높지만 수리가 어렵고, 락킹 방식은 유지보수는 쉬우나 시공 평탄도가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이음새가 떠버릴 수 있어요.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방식(접착+락킹)이 많아졌습니다.
공간별 추천 바닥재 정리
공간 추천 | 바닥재 | 이유 |
거실, 복도 | 강화마루, SPC마루 | 내구성 강하고 고급스러운 질감 유지 |
주방 | 방수마루 또는 두꺼운 장판 | 물 튀김, 오염에 강한 마감 필요 |
침실 | 강마루 또는 원목마루 | 체온 보존력 좋고 쿠션감 있음 |
다용도실 | PVC장판 + 방수처리 | 배수와 바닥 습기 고려 필수 |
아이 방 | LVT 마루 + 쿠션 시트 | 부드럽고 충격 흡수 효과 |
실제 사례로 보는 선택의 기준
서울 은평구의 한 30평대 아파트에서는 전체 마루를 시공했지만, 주방에서 냄비를 떨어뜨리면서 마루에 깊은 찍힘이 생겨 이후 주방만 장판으로 교체했습니다. 반면 경기도 분당의 한 신혼부부는 거실과 침실은 SPC마루, 주방과 다용도실은 두꺼운 논슬립 장판으로 구분 시공해 기능성과 디자인 모두 만족한 사례로 남았습니다.
결론
바닥재는 한 번 시공하면 적어도 10년 이상 매일 눈으로 보고 발로 밟게 되는 핵심 구조입니다. 예쁜 색상, 감성적인 무늬보다 중요한 것은 그 공간의 사용 특성과 사용자 습관에 맞는 내구성과 방습 성능입니다. 이번 글을 참고해 마루와 장판의 특성을 잘 비교하고, 공간별로 실용적인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링팬, 거실 조명과 냉방 효율의 상관관계를 다룰 예정입니다.
'리모델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용도실 리모델링 – 세탁기 배수와 환기 체크리스트 (0) | 2025.07.12 |
---|---|
방음공사 가이드 – 층간소음 방지와 방음재 선택법 (1) | 2025.07.10 |
거실 천장 리폼, 간접조명 설치와 실링팬 주의점 (1) | 2025.07.09 |
시스템 에어컨 설치, 전기용량과 누전차단기 업그레이드 필수 (0) | 2025.07.08 |
현관 리모델링, 방화문 교체와 신발장 설치 팁 (0)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