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실 리모델링을 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이쁜 타일 고르면 끝 아니야?”라고 생각하죠. 그런데 막상 공사에 들어가 보면 타일 하나 고르는데도 수십 가지 종류에, 광택·방수·논슬립 기능까지 따져야 합니다. 세면대는 붙박이로 할지 스탠드형으로 할지, 샤워부스는 유리도어냐 파티션이냐, 배수구 위치까지 맞춰야 하죠.
욕실은 하루에 여러 번 사용되는 공간이면서, 수분과 온도 변화가 가장 큰 곳이기도 해요. 그렇기 때문에 자재 선택 하나가 곰팡이, 누수, 냄새, 수명까지 좌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 욕실 리모델링 시 꼭 알아야 할 자재 3가지 – 타일, 세면대, 샤워부스를 중심으로, 종류, 장단점, 설치 팁과 예산 정보까지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욕실 타일 – 디자인보다 중요한 건 논슬립과 흡수율
① 타일 종류 비교
종류 | 특징 | 장점 | 단점 |
포세린 타일 | 압축력 높고 흡수율 낮음 | 내구성, 방수 우수 | 가격이 비쌈 |
세라믹 타일 | 일반적인 욕실 타일 | 저렴, 시공 쉬움 | 흡수율 높아 곰팡이 유발 가능 |
모자이크 타일 | 작고 다양한 색상 | 포인트 디자인 가능 | 줄눈 많아 청소 불편 |
포세린 타일은 흡수율 0.5% 이하, 물때와 곰팡이 방지에 효과적이지만 가격은 ㎡당 510만 원 선이에요.
일반 세라믹 타일은 ㎡당 2~4만 원, 시공비 포함 시 총 80~120만 원 정도 예상할 수 있어요.
② 타일 마감 팁
- 벽은 무광, 바닥은 미끄럼 방지용 논슬립 처리 필수
- 줄눈은 곰팡이 방지를 위해 에폭시 줄눈제 추천
- 30cm 이상 대형 타일은 평탄도 확보 어려우므로 숙련 시공사 필요
세면대 – 일체형, 카운터형, 스탠드형 비교
욕실 리모델링에서 세면대는 수납, 동선, 디자인을 모두 좌우합니다. 특히 좁은 욕실은 일체형을 쓰는 경우가 많지만, 물 튐이나 관리의 문제도 고려해야 하죠.
① 세면대 유형별 비교
타입 | 설명 | 장점 | 단점 |
일체형 | 상부 수납장과 하부 수납장이 결합 | 깔끔한 디자인, 수납 용이 | 수전 교체 어려움 |
카운터형 | 상판 위에 세면볼 설치 | 인테리어 자유도 높음 | 청소 불편, 공간 차지 |
스탠드형 | 하부 프레임 없이 벽 부착형 | 공간 효율, 시공 간단 | 수납 불가, 배관 노출 가능성 |
※ 세면대 설치비 포함 평균 예산 (정확한 견적은 업체에 문의 필요합니다)
- 일체형 30만 원~50만 원
- 카운터형 60만 원~100만 원
- 스탠드형 20만 원대부터 가능
② 실사용 팁
- 수전은 누수 방지를 위해 단단히 고정, 부속품(조절 밸브 등) 포함 여부 확인
- 세면볼은 깊이가 14~18cm 이상 돼야 물튐 방지
- 수도 배관과 하수 배관의 간격이 세면대 하부 구조와 맞는지 반드시 사전 확인 필요
샤워부스 – 공간 분리와 배수 효율을 동시에
샤워부스를 설치하면 욕실이 건식/습식으로 분리되어 물청소와 곰팡이 관리에 큰 도움이 돼요. 하지만 배수 설계가 부족하거나, 문 여닫이 방식이 맞지 않으면 불편함이 오히려 커지기도 합니다.
① 샤워부스 형태 비교
타입 | 설명 | 장점 | 단점 |
도어형 (폴딩/여닫이) | 유리문으로 부스 구획 | 물 튐 방지, 깔끔한 디자인 | 도어 여닫이 간격 필요 |
파티션형 | 고정 유리판 1장 | 공간 절약, 설치 간단 | 물이 튈 수 있음 |
슬라이딩형 | 양방향 미닫이 | 좁은 욕실에 적합 | 틈새 청소 어려움 |
※ 샤워부스 시공 예산 (정확한 견적은 업체에 문의 필요합니다)
- 도어형 40만 원~80만 원
- 파티션형 25만 원~50만 원
- 슬라이딩형 50만 원~90만 원
② 설치 팁
- 유리는 5mm 이상 강화유리를 사용해야 안전
- 배수구 위치와 바닥 기울기를 미리 조정해야 문틈 물 고임 방지
- 문 하단 고무 패킹(물막이) 품질 체크 필수
자재 선택 체크리스트
✔ 바닥 타일은 미끄럼 방지 처리된 논슬립 제품
✔ 타일 줄눈은 에폭시제 또는 곰팡이 방지 코팅
✔ 세면대 수전은 분리형이 유지·보수에 유리
✔ 샤워부스는 여닫이 반경과 환기 고려
✔ 수납장은 벽체 구조와 배관 위치에 맞게 설계
✔ 모든 자재는 KS인증 또는 KC안전인증 확인 필수
결론
욕실 리모델링에서 자재 선택은 단순히 예쁜 것보다 실용성과 유지보수까지 고려하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논슬립 타일 하나, 수전의 마감처리 하나, 배수 위치 하나가 5년, 10년 뒤의 곰팡이와 누수를 결정하게 되죠.
이번 글에서 소개한 **욕실 리모델링 핵심 자재 3가지(타일·세면대·샤워부스)**의 비교와 설치 팁을 기준으로, 예산과 공간 조건에 맞는 구성을 선택하세요.
다음 글에서는 욕실 수납 최적화 – 작은 욕실 넓게 쓰는 가구 배치 팁으로 이어집니다.
'리모델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욕실 리모델링 배수 설계 – 층간 누수 막는 시공 포인트 완전 정리 (0) | 2025.07.19 |
---|---|
아파트 리모델링 벽 철거 가이드 – 내력벽 구분부터 철거 허가, 시공 주의점까지 (1) | 2025.07.18 |
아파트 리모델링 몰딩 시공법 – 천장, 걸레받이, 문선까지 마감 디자인 완전정리 (0) | 2025.07.17 |
아파트 리모델링 전기·조명 설계 가이드 – 스위치 배선, 조도, 안전까지 완전 정리 (1) | 2025.07.17 |
바닥재 리모델링 장판·마루 선택과 시공 – 내구성과 방습 성능 비교 (1) | 2025.07.12 |